[현장 행정] 부서별 체험 ‘체인징 데이’ 주민 속사정 ‘나누는 데이’
“하루 업무를 바꿔 본다고 설마 역지사지가 되겠어?”
조은희 서울 서초구청장의 대답은 ‘예스’다. 공무원 업무가 나날이 세분화되다 보니 전문성은 높아졌지만 반대로 부서 간 칸막이가 높아지고 민원 해결 과정이 오히려 더디다는 비판도 거세다. 협업을 우선순위로 놓고 있는 조 구청장은 이에 ‘체인징데이’라는 아이디어를 직접 냈다.
|
조은희 서울 서초구청장이 30일 양재노인종합복지관 일일 관장을 맡아 거동이 어려운 양재2동 신모 할머니댁을 찾아 밑반찬을 전달하며 위로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
한 달에 한 번씩 구청 33개 전 부서장이 아예 서로 다른 국의 부서로 자리를 바꿔 ‘일일 근무’하는 날이다. “단순한 업무 체험이 아니라 직접 다른 국·부서의 ‘말 못할 속사정’을 느껴 보고 효율적이고 투명한 협업을 하자는 취지”라고 조 구청장은 30일 설명했다. 지난 17일엔 6개국 국장들이 서로 자리를 교체했고 24일엔 33개 과장들이 업무를 바꿨다. 이어 이날은 조 구청장이 양재노인종합복지관장으로 나섰다.
이날 아침 복지관 일일회의를 주재한 조 구청장은 듣기보다 질문이 많았다. “‘착한 경로당’은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경로당을 지원하는 건가요?”, “어르신 프로그램들의 차이점은 뭔가요?” 서초에서 가장 오래되고 일 평균 1084명이 이용하는 실버시설 현장을 꼼꼼히 살피겠다는 것이다. 그는 “청장실에 앉아 클릭하는 전자결재만으로 현장을 다 알기엔 역부족”이라며 “여기서 하나라도 더 보고 듣고 가야 한다”고 했다.
이어 5층 강당으로 발걸음을 옮긴 조 구청장은 어르신 47명과 함께 라틴댄스 리듬에 맞춰 잠시 스텝을 밟았다. 땀방울 닦기가 무섭게 또 밑반찬 배달에 나섰다. 복지관은 저소득층이거나 거동이 불편한 65세 이상 어르신 60명의 식사를 지원한다. 반찬통을 들고 나선 조 구청장은 양재2동 다세대 주택 지하에 사는 신모(72) 할머니댁을 찾아 안부와 위로를 건넸다.
구 관계자는 “체인징데이로 업무가 어수선해지지 않을까 걱정도 했다”면서 “원래 부서장의 조언을 듣고 직원들과 대화하다 보니 다른 과 업무에 대해 너그러워졌다. 마이너스보다 플러스가 더 많다”고 전했다. 여성보육과장으로 변신한 안종희 건축과장은 “설계·시공 등 어린이집 신설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학부모 민원 등 어려움이 많아 여성보육과 일도 얕보면 안 되겠다는 것을 체감했다”고 했다.
앞으로 구는 체인징데이를 동장까지 확대 시행하고 국·과장급 업무 교체도 계속할 예정이다. 지난해 4월부터는 전국 최초로 부서 간 협업 성과를 인사고과·성과상여금에 반영하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다. 조 구청장은 “역지사지 행정, 서로 돕는 ‘2등 정신’으로 수준 높은 주민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협업문화의 선두주자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