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사회중심 노인돌봄체계 개편 전략의 이해
- 노인복지의 환경 변화
: 급격한 고령화(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전망), 돌봄욕구 증가, 중후기노인(75세 이상) 비중 증가, 정책욕구 다변화(베이비붐 세대, 노인 단독가구, 건강관리 등)
- 지역사회 돌봄의 개념
: 장소적 개념으로의 탈시설화
: 서비스 제공주체로서의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정책
: Aging In Place(A.I.P 지역사회에서 나이 들어감)
-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추진
: 19년 6월부터 2년 간 8개 지자체에서 선도사업 추진
: 돌봄이 필요한 국민이 살던 곳에서 본인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 사회서비스 정책
-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 읍면동 '케어안내창구'운영, 시군구 단위 '지역케어회의'운영, 요양병원 및 시설 퇴원 지원사업,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
- 지역사회 노인돌봄체계 현황
: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지역사회연계사업
- 지역사회 노인돌봄체계 개편
: 노인통합지원센터(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가칭)으로 중앙관리기구 통합
- 노인복지법 전면개정 추진
: 노인돌봄의 원칙 명시, 노인복지관의 기능 변화 규정, 재가노인복지기관을 돌봄기관과 요양기관으로 구분 등
2. 노인상담의 이해와 실제
- 우리는 왜 상담을 하는가
: 상담에 정답을 정해놓고 해서는 안된다. 노인에 대한 선입견과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함.
- 노인상담을 위한 준비
: 노인 문제(4고-빈곤,질병,무위,고독)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 인간에 대한 이해의 기본 3원칙(무비판적 수용, 감정이입, 진실성)을 바탕으로 해야 함.
- 나만의 상담이론 찾기
: 프로이드, 아들러, 프랭클, 로저스, 스키너, 펄스, 엘리스, 글래셔, 보웬, 싸티어 등 학자들의 이론을 대입할 수 있는 나만의 기법 찾아 적용하기
- 상담 사례 실습
: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한 잘못된 상담가의 모습 교정
3. 사례관리의 개념과 과정 이해 및 실습과 슈퍼비전
- 노인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깨야 함.
: 백인과 결혼은 국제결혼이고, 동남아 사람과 결혼하는 것은 다문화
: 혼자사는 노인은 독거노인, 혼자 사는 청년은 1인가구
- 현재의 문제를 단편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살아온 삶의 히스토리를 읽어볼 수 있어야 함.
- 복지를 위한 갑 금지
: 사회복지사가 정보를 가지고 갑이 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갑이 될 수 있도록, 먼저 이야기 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해야 함.
- 사례관리란?
: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가 있는 C't와 그 가족의 사회적 기능 회복을 돕는 통합적 접근방법.
- 사례관리 과정의 이해
: 발굴, 초기상담, 욕구사정, 클라이언트 선정, 서비스제공 계획수립, 실행, 종결, 사후관리
4. 노인집단상담기법의 이해와 실습
- 노인집단상담의 이해
: 사회교육 프로그램과 구별, 발달과정상 경험하는 공통적인 문제 완화 및 해결, 자존감이 향상되고 새로운 연결망을 구축할 수 있음.
- 집단형성 및 운영
: 동년배 동질집단, 구조화된 집단상담, 9~10명(중도포기 감안)이 적당, 1시간 내외가 적당, 비밀보장 강조
- 집단상담의 과정
: 초기단계, 변화와 촉진단계, 작업단계, 종결 및 추수단계의 4단계로 진행
- 노인집단상담의 활용 기법들
: 노인에 대한 존중과 겸손을 바탕으로 함, 기본적인 상담기법, 맺어주기, 공유하기, 칭찬하기, 격려하기, 감정표현 해보기 등
- 노인집단상담 활동 내용 및 실습
: 별칭짓기, 가위바위보 게임, 상호작용하기, 감정 표현 연습, 부정적 감정 표출 해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