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급식에서 나트륨을 줄이는 단계별 실천방법
- 식재료 구매 시 고려사항(가공식품, 통조림, 반조리 식품보다 신선한 제품 구매/나트륨을 줄인 양념 재료 구매/나트륨 섭취와 배출에 관련된 영양소가 함유된 식품 구매)
- 조리 시 고려사항(가공식품은 끓는 물에 데친 후 조리/많은 양의 국은 덜어서 데우기/된장국은 오래 끓이지 말기/깨소금 활용/양념장에 각종 채소를 더해 염분의 농도를 낮춰 주기/조림보다는 찜, 소금 간을 하지 않고 구이로 조리)
(2) 나트륨 저감화 정책 추진 배경 및 동향
- 나트륨 섭취 실태(양념류, 발효음식, 면류를 통해 나트륨 섭취 많음/외식, 급식 나트륨을 줄인 조리법 개선 필요)
- 나트륨 과잉섭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고혈압, 골다공증, 위암, 만성신부전, 심장병, 뇌졸중 등)
- 국내 나트륨 줄이기 정핵(소비자 대상 홍보활동, 산업분야에서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
(3) 삼삼급식소
- 매일 한 끼를 성인 1회 기준으로 나트륨 함량이 1,300mg 이하인 식단을 제공하는 급식소(성인 대상 급식소만 지정 가능)
(4) 식중독 정의 및 발생현황
- 식중독(식품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질환 또는 독소형 질환)
(5) 식중독 예방 요령
- 집단급식 식중독 예방 컨설팅 점검 항목 준수
- 식중독 조기 경보 시스템 이용
- 식중독 예방 관련 참고 사이트 이용
- 맞춤형 식중독 예측 지도 서비스 이용
(6) 병원성대장균의 기본정보
- 빠른 증식력, 적은 양으로도 감염 가능, 강력한 저항성
- 출근,체크->식재료 검수,조리회의->조리,검식->배식->급식시설,설비 위생관리->일일업무정리
(7) 집단급식소 위생 관리 향상을 위한 시설, 설비 방안
- 일본의 DRY 시스템 도입
-> 식중독 발생을 낮춘 가장 큰 요인은 조리 환경의 개선이었다.
-> 조리 공간 청소 후 환기를 통한 바닥 건조가 필요, 바닥이 건조해야 곰팡이, 해충, 세균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 드라이 시스템을 운영한 조리 공간은 교차오염에 의한 식중독 사고 예방에 큰 효과가 있었다.
-> 드라이 시스템이란 바닥에 물이 떨어지지 않는 구조의 시설, 설비를 갖추고 기기,기구를 사용하여 바닥이 건조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 젖은 환경의 기존 시스템을 개선해 드라이 시스템과 같이 바닥이 건조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운영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