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의 습관
발표자 : 김세연 사회복지사
1. 기업에서의 친절
-대하는 태도가 매우 정겹고 고분고분함. 또는 그런태도. (네이버 국어사전)
-인간관계의 기본, 기업경영의 핵심요소, 고객과의 관계유지를 위한 필수요소, 고객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 아닌 고객의 기쁨을 만들어내어 이익을 창출하는 것
2. 친절의 품질
-친절은 무조건 베푸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의 신뢰를 구축, 유지, 존중하는 것
-친절이 곧 자신을 위한 것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비로소 마음에서 우러나는 친절 가능
-질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친절이 따르지 못한다면 고객만족을 이끌어내지 못함
3. 친절은 습관
-친절에 대한 이론, 고객중심의 생각 중요함,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실천
-생각과 행동을 실천으로 옮기고 작고 사소한 친절이라도 습관으로 만드는 것은 곧 훌륭한 서비스
-미국의 유명한 노드스트롬 백화점의 서비스 전략 -> ‘생활속에서 서비스를 실천하라’
-친절에는 왕도가 없음. 매일매일 반복하고 몇 번이고 계속하는 습관이 중요
※ 한국인 첫 UN산하기구 수장인 故 이종욱 (1945-2006)박사는 사람들에게 Man of action (행동하는 사람)이라고 불립니다. 올바르다 생각하는 것을 실행하는 실행력 때문에 존경받고 추억되고 있습니다.
여태가지의 친절교육을 통해 많은 이론들을 배우고 익혀왔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이론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론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행동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습관화 시켜 생활 속에 접목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것이라도 반복하고 계속하는 행동하는 사람이 되는 한주간 되시길 바랍니다.
※ 출처 : 친절의 중요성, 삼선병원 친절위원회 이광규 취업알선사업